티스토리 뷰

AMOS에서 경로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입력

 

  • 관측변수(Observed variable, indicator): 설문 문항 값에 해당
  • 구조모델(Structural model): 관측변수, 측정오차, 구조오차,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와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간의 인과관계로 이루어짐

 

출력

 

  • 비표준화 계수(Regression weights)
  • 표준화 계수(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 유의확률(p value)
  • 모델 적합도(Model fit)

 

분석절차

 

  • 측정모델에서 공분산 삭제
  • 외생변수와 내생변수간에 인과관계 설정
  • 외생변수간에 공분산 설정
  • 내생변수에 구조오차 추가
  • 분석 옵션 설정
  • 분석 버튼 누르기

 

분석 결과 해석

 

실습

 

구조모델은 앞서 그린 측정모델에서 변수간 공분산을 제거하고 인과관계를 연결한다. 그리고, 외생변수간에는 공분산을 그린다.  내생변수에는 구조오차를 추가한다.

 

분석옵션은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동일하다.

 

분석이 끝나면 화면 상당의 빨간색 아이콘을 클릭한다. 구조모형에 비표준화 계수가 출력된다. 

 

표준화 계수를 보기 위해서는 Standardized estimates를 클릭한다.

 

 

비표준화 계수표(Regression Weights)와 표준화 계수표(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의 내용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모델 적합도표를 확인한다. 적합지수 중에서 SRMR은 플러그인 메뉴를 통해서 계산해야 한다.

 

 

모델 적합도 지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적합도 지수 판단기준 결과
x2/df <3 또는 5 1.039
RMR < 0.05 0.023
RMSEA < 0.08 0.011
SRMR < 0.08 0.033
GFI > 0.9 0.984
TLI > 0.9 0.999
NFI > 0.9 0.986
CFI > 0.9 0.999
AGIF > 0.8 0.970